티스토리 뷰
반응형
매년 4월 3일은 4.3희생자 추념일입니다.
제주4.3사건의 진실과 2025년 추념행사 일정을 정리합니다.

4.3희생자 추념일, 아물지 않은 그날의 기억
2025년 4월 3일, 오늘은 제77주기 4.3희생자 추념일입니다.
1948년 4월 3일, 제주에서 시작된 국가폭력에 의한 비극은
약 25,000여 명의 민간인 희생이라는 아픈 역사를 남겼습니다.
🔍 제주 4.3사건이란?
- 시작일: 1948년 4월 3일
- 배경: 단독 선거 반대, 남북 분단의 갈등 속 무장봉기 발생
- 진압 과정: 군·경 중심의 대규모 진압 → 민간인 학살 발생
- 희생자 수: 약 25,000명 이상
- 진실 규명: 2003년 진실화해위원회에서 국가 폭력 공식 인정



🌸 추념일의 의미와 변화
- 2014년: '국가기념일'로 지정
- 제주 4.3평화공원에서 공식 추념식 진행
- 2021년: 제주 4.3특별법 개정 → 희생자 배보상 가능
💡 지금도 매년 4.3을 기념하며, 진상규명·명예회복·화해와 상생의 상징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 2025년 지역별 4.3희생자 추념 행사 정보
지역행사 장소시간주요 내용
제주도 | 제주 4.3평화공원 | 오전 10시 | 국가주관 추념식, 분향, 유족 헌화 |
서울특별시 | 국립현충원 추모의집 | 오전 11시 | 시민분향소, 영상상영, 묵념 |
부산광역시 | 부산민주공원 | 오후 2시 | 4.3 관련 전시 및 시민 헌화 |
광주광역시 | 국립 5.18 민주묘지 | 오후 3시 | 추모제, 시민참여 평화기원 메시지 |
대구·경북 | 대구시청 시민광장 | 오후 1시 | 거리추모전, 민간인 증언 영상 |
📌 지자체별 일정은 일부 변경될 수 있으며, 각 지역청 홈페이지 참고 필요
🕊️ 우리가 기억해야 할 이유
- 역사는 반복되지 않기 위해서 기록되고, 기억되어야 합니다.
- 4.3은 단순한 과거가 아닌, 오늘의 평화와 내일의 인권을 위한 사회적 기억의 상징입니다.
📊 관련 자료 및 수혜 내용
- 제주4.3평화재단에서 유족 등록, 증언자료, 진상조사 등 공개
- 국가적 보상법 통과 후 1인당 최대 9,000만 원 배상 절차 진행 중
- 생존 유족 대상 심리 치유 및 사회 복귀 프로그램 확대
🔗 관련 링크
✍ 마무리 한 줄
그날을 잊지 않는 우리가, 미래를 지켜낼 수 있습니다.
오늘 하루만큼은, 이름 없이 사라진 이들의 삶을 기억해 주세요.
반응형